|
![]() |
족보 용어 |
![]() |
|||||||||||||
|
예컨대 부자의 사이가 세로는 2세이지만 대로는 1대이다. 시조로부터 14세손이 되는 사람은 시조가 13대조이며, 시조에게는 13대손에 해당하는 것이다. 우리는 흔히 세와 대를 같은 뜻으로 착각 혼용하고 있으나 이것은 엄연히 구별되어 있다. 즉 세는 자기까지 합수하여 계산한 대수이며, 대는 자기를 빼고 바로 윗대 아버지까지를 합수하여 계산한 대수를 말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고조는 나의 4대조이다. 나는 고조의 4대손이다. 이 경우는 자기가 합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대를 써야하며, 세로 표시할 경우는 자기가 합수되기 때문에 5세조 또는 5세손이라는 계산이 되나 가까운 선조에는 세를 쓰지 아니하므로 5세조(고조)는 4대조라 한다.
아명:효중, 관명(자):우빈, 행명:영서, 호:송석 율악 그리고 웃어른의 명자를 말할 때 생존한 분에 대하여는 함자라고 하며, 작고한 분에 대하여서는 휘자라고 하거니와, 명자를 부를 때에는 웃어른의 이름에 대하여서는 함자이건 휘자이건 글자 사이마다 字자를 넣어서 부르거나, 글자를 풀어 읽어서 말하기도 한다. (예: 순룡, 순자, 순임금 순자 용룡자 등) 또 우리가 다른 사람을 높여서 존대할 경우에는 아무씨, 아무선생 혹은 무슨옹 등의 존칭사를 쓰는데 이는 그 경우에 따라 쓰이는 곳이 다음과 같이 각각 다르다. - 씨(氏) : 성명 또는 이름 밑에 붙이며, 아호에는 붙이지 않는다. - 선생(先生) : 성명 또는 아호 밑에 붙인다. - 공(公) : 남자의 성, 아호 또는 관작 밑에 붙인다. - 옹(翁) : 남자노인의 성 또는 성명 밑에 붙인다. - 장(丈) : 남자의 직함이나 아호 밑에 붙여서 어른이라는 뜻을 나타내는 말인데 노인장?존장?형장?종장 등으로도 쓰인다.
이런 경우 항렬이 자기의 세대보다 윗대이면 「항렬이 높다」고 표한하고, 아랫대이면 」항렬이 낮다」고 말한다. 그런데 항렬은 장손(혹은 종손) 계통일수록 낮고, 지손 계통은 높은 것이 통례이다. 장손계통은 지손계통에 비해 세대의 교체가 빠르기 때문이다. 가령 같은 형제라도 맏이는 일찍 태어나 먼저 장가를 들고, 막내는 나이차만큼 늦게 장가들게 마련이다. 심하면 맏이가 손자 볼 때쯤 해서야 막내는 겨우 장가를 들게 되는 일도 많다. 따라서 맏이에서 맏이로 이어지는 장손계통은 지손계통보다 세대의 교체가 빠르고, 항렬자의 사용진도가 그만큼 앞당겨지므로 항렬이 낮아지게 된다. 흔히 「배(腹)안의 할아버지」라는 말을 듣는다. 아직 태어나지도 않은 아이가 항렬은 높아서 할아버지뻘이 된다는 뜻이다. 항렬은 단순히 이름의 돌림자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조상의 몇 대손이 되는가를 표시하는 구실을 하는 것이다. 지금도 집안에 따라서는 항렬을 나이에 우선시키고 있다. 나이에 상관없이 항렬 높은 사람에게는 윗사람 대접을 하고 또 항렬이 낮은 사람에게는 말을 낮추는 경우를 볼 수 있다. 이른바 장유유서(長幼有序)라는 것도, 동족 간에서는 항렬이 높은 사람이 장(長)이며, 낮은 사람은 유(幼)가 되는 것이다. |